리포트 항목 이해하기
업데이트 날짜: 2024-09-12
리포트 페이지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은 모든 권한에게 있습니다. |
---|
- 리포트 페이지에서는 근무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 항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직원은 본인의 데이터만, 조직/지점관리자는 소속된 조직의 데이터만 조회가 가능합니다.
기본 용어 이해하기
아래의 기본 용어들에 대한 개념을 확인한다면, 리포트 개별 항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기본 용어 | 개념 설명 |
---|---|
|
직원의 근로정보에서 설정한 소정근로요일들 (참고) 평일이 휴일이 되는 경우(공휴일, 회사 지정 휴일 등)에는, 휴일로 간주됩니다. |
|
직원의 근로정보에서 설정한 주휴일, 공휴일, 회사 지정 휴일들 |
|
평일, 휴일을 제외한 나머지 요일들 |
|
근무시간에서 휴게시간을 제외한 시간 |
|
근무일정 상의 계획된 근무시간 - 휴게시간 - (유급휴가시간) 예) 9:00-18:00 근무일정, 휴게시간 1시간, 유급휴가 4시간 사용 시 승인된 근로시간은 4시간 |
실제 근로시간 |
출퇴근기록 상의 근무시간 - 휴게시간 + (간주근로시간) 예) 8:58 출근 - 6:15 퇴근, 휴게시간 1시간일 경우 실제 근로시간은 8시간 17분 ﹡간주근로 일정을 사용할 경우, 실제 출퇴근기록과 중복되는 근무시간을 제외하고 더해집니다 |
|
유급휴가시간 사용이 반영된 시간 |
|
직원의 근로정보 기본에서 설정한 소정근로요일과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근로시간으로,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합의된 근로시간 |
|
직원의 근로정보 중 최대근로규칙에서 설정된 근로시간으로, 직원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최대로 근로할 수 있는 시간 예) 52시간(규칙에 설정된 근로시간) ÷ 7(일주일의 총 일수) x (조회하는 해당 월의 총 일수) |
|
근로시간에서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한 시간 예) 실제 근로시간이 100시간, 소정근로시간이 90시간일 경우 실제 연장근로시간은 10시간 * 직원의 소정근로규칙에서 연장근로 최소기준을 설정할 경우, 해당 시간만큼은 소정근로시간으로 반영되어 연장근로로 집계되지 않습니다. |
리포트 항목 이해하기
각 리포트 항목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조회 기간 내 해당 항목의 수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Ctrl + F 를 눌러 원하는 리포트 항목을 확인하세요
리포트 항목 | 설명 |
---|---|
|
직원의 기본정보에 설정된 입사일 |
|
직원의 기본정보에 설정된 퇴사일 |
|
다수의 조직을 배정받은 경우 직원의 기본정보에서 설정된 본조직 |
|
다수의 직무를 배정받은 경우 직원의 기본정보에서 설정된 본직무 |
|
직원에게 배정된 직무들 |
|
직원의 근로정보에 설정되어있는 소정근로요일 수 ﹡직원의 '퇴사일'이 입력된 경우, 퇴사일까지만 소정근로일수가 계산됩니다. |
|
유급휴가(8h) 사용을 제외한 조회 기간 내 근무일정 일수 |
|
출퇴근기록 일수 + (간주근로 일수) ﹡간주근로 일정에 출퇴근을 기록한 경우, 중복 합산되지 않습니다. |
|
유급휴가시간을 사용한 일수 |
|
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일자별 근로시간 ⅹ 소정근로일수 ﹡직원의 '퇴사일'이 입력된 경우, 퇴사일까지만 소정근로시간이 일할 계산됩니다. |
|
승인된 근무일정의 근무시간 - 휴게시간 - (유급휴가시간) |
|
승인된 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|
|
출퇴근기록 근무시간 - 휴게시간 + (간주근로시간) ﹡간주근로 일정에 출퇴근을 기록한 경우, 중복되는 근무시간을 제외하고 더해집니다. (실제 출퇴근기록 시간 - 간주근로 시간) + (간주근로 시간 - 휴게시간) |
|
실제 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|
|
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- 휴게시간 |
|
표준 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|
|
유급휴가로 반영된 시간 |
|
승인된 근로시간 ÷ 승인된 근로일수 |
|
승인된 유급시간 ÷ 승인된 유급일수 |
|
소정근로시간 - 승인된 1일 유급시간 |
|
실제 근로시간 ÷ 실제 근로일수 |
|
조회 기간의 시작일로부터 오늘까지의 승인된 총 근로시간 ÷ 선택된 일수 𝗑 7 예) 조회 기간: 1/1~1/31, 오늘 날짜 : 1/15 인 경우 (1/1~1/15 까지 승인된 총 근로시간) ÷ 15 𝗑 7 |
|
조회 기간의 시작일로부터 오늘까지의 승인된 총 유급시간 ÷ 선택된 일자 수 𝗑 7 예) 조회 기간: 1/1~1/31, 오늘 날짜 : 1/15 인 경우 (1/1~1/15 까지 승인된 총 유급시간) ÷ 15 𝗑 7 |
실제 1주 평균 근로시간 |
조회 기간의 시작일로부터 오늘까지의 실제 총 근로시간 ÷ 선택된 일자 수 𝗑 7 예) 조회 기간: 1/1~1/31, 오늘 날짜 : 1/15 인 경우 (1/1~1/15 까지 실제 총 근로시간) ÷ 15 𝗑 7 |
실제 1주 평균 유급시간 |
조회 기간의 시작일로부터 오늘까지의 실제 총 유급시간 ÷ 선택된 일자 수 𝗑 7 예) 조회 기간: 1/1~1/31, 오늘 날짜 : 1/15 인 경우 (1/1~1/15 까지 실제 총 유급시간) ÷ 15 𝗑 7 |
|
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단위기간과 시작일자가 반영된 연장근로 단위기간 예) 단위기간 1개월 : 1개월 단위의 소정근로시간, 1개월 단위의 연장근로시간 ﹡직원의 '퇴사일'이 입력된 경우, 퇴사일까지만 단위기간이 계산됩니다. |
|
연장근로 단위기간 내 연장근로시간 (승인된 근로시간 - 소정근로시간)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소기준이 반영됩니다. |
|
연장근로 단위기간 내 연장유급시간 (승인된 유급시간 - 소정근로시간)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소기준이 반영됩니다. |
|
연장근로 단위기간 내 실제 연장근로시간 (실제 근로시간 - 소정근로시간)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소기준이 반영됩니다. |
|
연장근로 단위기간 내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- 소정근로시간 |
|
연장근로 단위기간 내 실제 연장유급시간 (실제 유급시간 - 소정근로시간)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소기준이 반영됩니다. |
|
표준 연장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|
|
소정근로시간 - 승인된 근로시간 |
|
소정근로시간 - 승인된 유급시간 |
|
소정근로시간 - 실제 근로시간 |
|
소정근로시간 - 실제 유급시간 |
|
(소정근로시간 + 연장근로 최대기준) - 승인된 근로시간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대기준이 반영됩니다. 예) 연장근로 최대기준 1주 12시간, 단위기간 1개월 설정 시 연장근로 최대기준 값 = 12(설정한 근로시간) ÷ 7(연장근로 최대기준 단위 일수) x (조회하는 해당 월 단위 일수) |
|
(소정근로시간 + 연장근로 최대기준) - 승인된 유급시간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대기준이 반영됩니다. |
|
(소정근로시간 + 연장근로 최대기준) - 실제 근로시간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대기준이 반영됩니다. |
|
(소정근로시간 + 연장근로 최대기준) - 실제 유급시간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대기준이 반영됩니다. |
|
(소정근로시간 + 연장근로 최대기준) - 표준 근로시간 * 표준 근로시간 =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- 휴게시간 |
|
(소정근로시간 + 연장근로 최대기준) - 표준 유급시간 * 표준 유급시간 = 표준 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|
|
평일에 승인된 1일 근로시간 (연장 제외) (예 : 1일 소정근로시간 8시간, 승인된 근로시간 12시간인 경우, 승인된 1일 평일 근로시간 (연장제외) = 8시간) |
|
평일의 실제 1일 근로시간 (연장 제외) |
|
평일의 표준 1일 근로시간 (연장 제외) * 표준 근로시간 =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- 휴게시간 |
|
1일 단위의 소정근로시간 초과분 : 1일 승인된 근로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 * 근로정보에 설정된 소정근로일이 아닌 경우, 당일의 총 근로시간이 연장근로로 반영됩니다. |
|
1일 단위의 소정근로시간 초과분 + 유급휴가시간 : 1일 승인된 유급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 * 근로정보에 설정된 소정근로일이 아닌 경우, 당일의 총 근로시간이 연장근로로 반영됩니다. |
|
평일에 승인된 1일 근로시간에서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시간 (평일에 승인된 1일 근로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) |
|
평일에 승인된 1일 유급시간에서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시간 (평일에 승인된 1일 유급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) 근무일정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, 유급휴가시간이 근무일정 시간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. |
|
평일의 표준 1일 근로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 * 표준 근로시간 =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- 휴게시간 |
|
평일의 표준 1일 유급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 |
|
휴무일의 표준 1일 근로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 |
|
휴무(평일, 휴일 제외)에 승인된 1일 근로시간에서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시간 (휴무에 승인된 1일 근로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) |
|
휴무(평일, 휴일 제외)에 승인된 1일 유급시간에서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시간 (휴무에 승인된 1일 유급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) 근무일정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, 유급휴가시간이 근무일정 시간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. |
|
휴일에 승인된 근로시간에서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시간 (법정공휴일, 회사지정휴일, 주휴요일에 승인된 근로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) |
|
휴일(법정 공휴일, 회사 지정 휴일, 주휴요일)의 표준 1일 근로시간 - 1일 소정근로시간 |
|
소정근로시간과 소정유급시간 사이의 승인된 평일 연장근로시간 *소정유급시간 = 소정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(예) 승인된 평일 근로시간 = 180시간, 소정근로시간 = 160시간, 유급 휴가시간 = 5시간일 때, 소정유급시간 = 160시간 + 5시간 = 165시간, 승인된 평일 미할증 구간 연장근로시간 = 5시간 |
|
소정유급시간을 초과한 승인된 평일 연장근로시간 *소정유급시간 = 소정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(예) 승인된 평일 근로시간 = 180시간, 소정근로시간 = 160시간, 유급 휴가시간 = 5시간일 때, 소정유급시간 = 160시간 + 5시간 = 165시간, 승인된 평일 할증 구간 연장근로시간 = 15시간 |
|
소정근로시간과 소정유급시간 사이의 승인된 평일 연장유급시간 *소정유급시간 = 소정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(예) 승인된 평일 유급시간 = 185시간, 소정근로시간 = 160시간, 유급 휴가시간 = 5시간일 때, 소정유급시간 = 160시간 + 5시간 = 165시간, 승인된 평일 미할증 구간 연장유급시간 = 5시간 |
|
소정유급시간을 초과한 승인된 평일 연장유급시간 *소정유급시간 = 소정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(예) 승인된 평일 유급시간 = 185시간, 소정근로시간 = 160시간, 유급 휴가시간 = 5시간일 때, 소정유급시간 = 160시간 + 5시간 = 165시간, 승인된 평일 할증 구간 연장유급시간 = 20시간 |
|
'연장근무'가 적용된 근무 유형을 사용하는 근무일정을 바탕으로 집계된 총 근로시간 '연장근무일정 근로시간'에서 사용한 유급 휴가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'연장근무'가 적용된 근무 유형을 사용하는 근무일정을 바탕으로, 평일에 승인된 연장근무일정 근로시간 '연장근무일정 근로시간'에서 사용한 유급 휴가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'연장근무'가 적용된 근무 유형을 사용하는 근무일정을 바탕으로, 휴무(평일, 휴일 제외)에 승인된 연장근무일정 근로시간 '연장근무일정 근로시간'에서 사용한 유급 휴가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'연장근무'가 적용된 근무 유형을 사용하는 근무일정을 바탕으로 휴일(주휴일, 공휴일, 회사 지정 휴일)의 근로시간 '연장근무일정 근로시간'에서 사용한 유급 휴가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으로 반영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실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평일에 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휴무(평일, 휴일 제외)에 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휴일에 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+ 유급휴가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으로 반영 근무일정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, 유급휴가시간이 근무일정 시간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.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+ 유급휴가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평일에 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+ 유급휴가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근무일정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, 유급휴가시간이 근무일정 시간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.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휴무(평일, 휴일 제외)에 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+ 유급휴가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근무일정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, 유급휴가시간이 근무일정 시간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.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휴일에 승인된 근로시간 중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 사이에 근로한 시간 + 유급휴가시간 ✱ 회사 설정 > 일반 > 야간근무시간대를 별도 설정한 경우, 해당 시간대에 근로한 시간 근무일정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, 유급휴가시간이 근무일정 시간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. ✱ 회사 설정 > 휴게시간 > 자동 휴게시간 > '총 근무시간 기준'으로 설정된 휴게시간은 차감되지 않습니다. |
|
휴무(평일, 휴일 제외)에 승인된 근로시간 |
|
휴무(평일, 휴일 제외)에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|
|
법정 공휴일, 회사 지정 휴일, 주휴요일에 승인된 근로시간 |
|
법정 공휴일, 회사 지정 휴일, 주휴요일의 실제 근로시간 |
|
법정 공휴일, 회사 지정 휴일, 주휴요일에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|
|
공휴일에 승인된 근로시간. 공휴일에는 '법정 공휴일'만 포함됩니다. (회사지정 휴일 제외) |
|
공휴일에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. 공휴일에는 '법정 공휴일'만 포함됩니다. (회사지정 휴일 제외) |
|
공휴일에 승인된 연장근로시간. 공휴일에는 '법정 공휴일'만 포함됩니다. (회사지정 휴일 제외) |
|
공휴일에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연장근로시간. 공휴일에는 '법정 공휴일'만 포함됩니다. (회사지정 휴일 제외) |
(할증 적용) |
연장근로시간 𝗑 1.5 + 야간근로시간 𝗑 0.5 + 휴일근로시간 𝗑 (0.5 or 회사지정 할증률)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소기준이 반영됩니다. |
(할증 적용) |
출퇴근기록의 연장근로시간 𝗑 1.5 + 야간근로시간 𝗑 0.5 + 휴일근로시간 𝗑 (0.5 or 회사지정 할증률)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소기준이 반영됩니다. |
(할증 적용) |
연장유급시간 𝗑 1.5 + 야간근로시간 𝗑 0.5 + 휴일근로시간 𝗑 (0.5 or 회사지정 할증률) * 소정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연장근로 최소기준이 반영됩니다. |
(할증 적용) |
승인된 1일 평일 연장근로시간 𝗑 1.5 + 승인된 1일 휴일 연장근로시간 𝗑 0.5 + 야간근로시간 𝗑 0.5 + 휴일근로시간 𝗑 (0.5 or 회사지정 할증률) |
|
직원별 최대근로규칙에 설정된 단위기간 (리포트 조회 기간에 포함된 최대근로 단위기간이 표시됩니다.) ﹡직원의 '퇴사일'이 입력된 경우, 퇴사일까지만 단위기간이 계산됩니다. |
|
최대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최대근로 단위기간 내 연장할 수 있는 승인된 잔여근로시간 (최대근로시간 - 승인된 근로시간) |
실제 최대 잔여근로시간
|
최대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최대근로 단위기간 내 연장할 수 있는 실제 잔여근로시간 (최대근로시간 - 실제 근로시간) |
|
최대근로시간 - 표준 근로시간 * 표준 근로시간 = 표준화 기능에서 설정한 표준화 규칙에 따라 반영된 근로시간 - 휴게시간 |
|
최대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최대근로 단위기간 내 연장할 수 있는 승인된 잔여유급시간 (최대근로시간 - 승인된 유급시간) |
실제 최대 잔여유급시간
|
최대근로규칙에서 설정한 최대근로 단위기간 내 연장할 수 있는 실제 잔여유급시간 (최대근로시간 - 실제 유급시간) |
|
최대근로시간 - 표준 유급시간 * 표준 유급시간 = 표준 근로시간 + 유급휴가시간 |
간주근로일수
|
간주근로를 사용한 근무일정 일수 |
간주근로시간
|
간주근로가 반영된 근로시간 |
휴가 일수
|
휴가를 사용한 일수 |
휴가 차감 일수
|
휴가에서 차감되는 총 일수 |
지각
|
근무일정 시작시간에 출근을 기록하지 않은 일수 ﹡리포트 페이지 좌측 상단의 지각 표시 범위 선택 후 조회 |
지각 시간
|
근무일정 시작시간 보다 늦게 출근을 기록한 시간 (예 : 근무일정 시작시간 9:00, 출근 시각 9:25, 지각 시간 = 25분) * 지각 허용 범위는 리포트 페이지 좌측 상단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. |
조퇴
|
근무일정 종료시간 보다 일찍 퇴근을 기록한 일수 |
조퇴 시간
|
근무일정 종료시간 보다 일찍 퇴근을 기록한 시간 |
결근
|
근무일정에 출근을 기록하지 않은 일수 |
퇴근 누락
|
근무일정대로 출근 후, 퇴근을 기록하지 않은 일수 ﹡ 회사설정 - 출퇴근기록에서 설정된 퇴근 허용 시간이 지난 경우 |
리포트 일수
|
리포트 조회 기간 내 선택된 일수 (예: 리포트 조회 기간 2023-03-01 ~ 2023-03-05, 리포트 일수 = 5일) |
|
리포트 조회 기간 내 공휴일수. 공휴일에는 '법정공휴일'만 포함됩니다. |
문의 사항은 support@shiftee.io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.